vfs_cache_pressure
Linux 커널의 vm 구조와 관련된 파라미터로 vfs_cache_pressure라는 것이 존재한다. 이 파라미터는 디렉토리와 inode 오브젝트에 대한 캐시로 사용된 메모리를 반환(reclaim)하는 경향의 정도를 지정하는 항목이다. 기본 값은 100.
이 값을 0으로 설정하게 되면 Linux 커널은 오브젝트에 대한 캐시를 반환하려고 하지 않을 것이며 얼마 지나지 않아 시스템은 Out of Memory 상태를 호소할 것이다. (커널이 메모리를 다 먹어버렸다고!!)
그리고, 100 이상의 값을 주면 Linux 커널은 오브젝트에 대한 캐시를 가급적 반환하려고 하며 (다른 말로 가급적 캐시해서 보관하려고 하지 않으려 든다) 이를 이용하면 inode와 dentry 캐시를 줄일 수가 있다.
# echo 10000 > /proc/sys/vm/vfs_cache_pressure
or
# sysctl vm.vfs_cache_pressure=10000
sysctl.conf
vm.vfs_cache_pressure = 10000
# sysctl -p
출처 : http://tumblr.lunatine.net/post/28546340998/faq-linux-%EB%A9%94%EB%AA%A8%EB%A6%AC-%ED%9A%A8%EC%9C%A8%EC%9D%84-%EC%9C%84%ED%95%9C-vfscachepressur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