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

https://wiki.openstack.org/wiki/Release_Naminghttp://www.ddaily.co.kr/news/article.html?no=127320
http://kinxday.blog.me/220192653651
엔지니어들은 물론이거니와...일반인들에게도 한번쯤은 들어봤을법한...오픈스택 이름에 얽힌 규칙에 대해서 알려드리고자 합니다.
본론에 앞서 오픈스택은 퍼블릭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 시스템을 만들고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오픈소스 기반의 클라우드 플랫폼을 말합니다.
스마일서브에서는 리눅스는 KVM 기반 QEMU 에뮬레이터를 통해 윈도우는 HYPER-V 기반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모두 자체적으로 개발 & 운영되고 있습니다.
이를 오픈스택에서는 ............실린더, 스위프트.... 모든걸 총괄하고 있습니다.
오픈스택은 2010년 오픈소스로 처음 공개되면서 매년 2회에 걸쳐 각종 기능추가와 버그등을 수정해서 오픈되고 있으며 아래는 이미지는 현재까지 공개된 오픈스택 버전입니다.
[이미지출처]
https://wiki.ubuntu.com/ServerTeam/CloudArchive?action=AttachFile&do=get&target=plan.png
참고로 안드로이드 역시 알파벳순으로 정하고 있으며 도시가 아닌 디저트 이름으로 정하고 있다고 합니다.
Apple pie(1.0,A) - Banana bread(1.1,B) - Cupcake(1.5,C) - Donut(1.6,D) - Eclair(2.0~2.1,E) -
Froyo(2.2,F) - Ginger Bread(2.3,G) - Honeycomb(3.0~3.2,H) - Ice Cream Sandwich(4.0,I) -
Jelly bean(4.0~4.3,J) - Kitkat(4.4,K) - Lollipop(5.0,L)
[이미지출처]
http://www.tops-int.com/blog/wp-content/uploads/2014/11/Android-All-Versions-a-to-L.jpg